본문 바로가기
TIL/Code States

Code States 2일차 - 기초

by 죠르띠에 2021. 7. 20.

1. 변수

변수는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값이다.

//선언 방법
let myName;

//할당 방법
myName = 'Jortier';

//선언과 할당을 동시에 할 수 있다.
let myName = 'Jortier';

 

 

프로그래밍 세계에서의 변수는 이름(Label)이 붙은 값이다.

//대표적인 예
let pi = 3.141592
let speedOfLight = 300000000;

 

표현식(expression)에서 변수들을 사용할 수 있다.

더보기

표현식이란?

코드 값으로 확인된 표현은 그 어떤 타당한 단위입니다.

개념적으로, 2가지의 유형이 있습니다. 첫번째는, 변수에 값을 할당시키는 것, 두번째는 단순히 값을 갖는것이 있습니다.

 

출처:  표현식과 연산자 - JavaScript | MDN

 

변수는 동일한 변수를 이용해 대입할 수 있다.

let sum = 1;
sum = sum + 2; // 결과값 : 3
sum = sum + 3; // 결과값 : 6
sum = sum + 4; // 결과값 : 10

 

변수에는 다양한 타입이 있다.

  • Boolean
  • Null
  • Undefined
  • Number (en-US)
  • String
  • Symbol (ECMAScript 6 에 추가됨)
  • 별도로 Object

 

2. 함수

어떤 목적을 가진 작업들을 수행하는 코드들이 모인 블록이다.

함수는 항상 출력값을 반환한다.

일반적으로, 함수는 함수 외부 (또는 재귀(recursion)의 경우엔 내부) 코드에 의해 호출될 수 있는 "하위프로그램"입니다. 프로그램 그 자체처럼, 함수는 함수 몸통(function body)이라고 하는 일련의 구문(statement)으로 구성됩니다. 값은 함수에 전달될 수 있고 함수는 값을 반환합니다.

출처: 함수 - JavaScript | MDN

 

함수 선언 방법

// 함수 선언식
function getTriangleArea(base, height){
  let triangleArea = (base * height) / 2;
  return triangleArea;
}

// 함수 표현식
// 변수에 할당된 함수는 익명함수이다.
const getTriangleArea = function(base, height){
  let triangleArea = (base * height) / 2;
  return triangleArea;
}

// 화살표 함수
const getTriangleArea = (base, height) => {
  let triangleArea = (base * heignt) / 2;
  return triangleArea;
}

// 화살표 함수에서 return문만 있을 경우, return과 중괄호는 생략 가능
const getTriangleArea = (base, height) => base * height / 2;

//returna문에서 소괄호 사용가능
const getTriangleArea = (base, height) => (base * height) / 2;

 

함수의 호출

// 선언
// base와 height는 매개변수(paramter)라 한다.
function getTriangleArea(base, height){
  let triangleArea = (base * height) / 2;
  return triangleArea;
}

// 호출
// 3과 4는 전달인다(argument)라고 한다.
getTriangleArea(3, 4);

 

3. 조건문

  • 조건을 배우기 위해서는 Boolean 타입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.
  • 조건문은 어떠한 조건을 판별하는 기준을 만드는 것이다.
  • 조건문에는 반드시 비교연산자(comparison operator)가 필요하다.
  • 비교의 결과는 늘 Boolean, 즉 true 혹은 false 이다.
  • 비교연산자
> 초과
< 미만
>= 이상
<= 이하
=== 같다
!== 다르다
  • 사용하면 안되는 비교연산자(타입을 엄격하게 비교하지 않기 때문)
== 같다
!= 다르다
  • 조건문 사용방법
if (조건1){
  // 조건1이 통과할 경우
} else if (조건2) {
  // 조건1이 통과하지 않고
  // 조건2가 통과할 경우
} else {
  // 모든 조건이 통과하지 않을 경우
}
  • 조건에는 Boolean 으로 결과가 나오는 표현식이 들어간다.

 

  • 두가지 조건이 한번에 적용되는 경우 논리연산자(Logical Operator)를 사용한다.
  • 논리 연산자
연산자 구문 설명
논리 AND expr1 && expr2 expr1 true로 변환할 수 있는 경우 expr2을 반환하고, 그렇지 않으면 expr1을 반환합니다.
논리 OR expr1 || expr2 expr1 true로 변환할 수 있으면 expr1을 반환하고, 그렇지 않으면 expr2를 반환합니다.
논리 NOT !expr 단일 피연산자를 true로 변환할 수 있으면 false를 반환합니다. 그렇지 않으면 true를 반환합니다.
  • 기억해야 할 6가지 false 값
if (false)
if (null)
if (undefined)
if (0)
if (NaN)
if ('')
  • 논리 연산자의 결과에 Boolean이 아닌 다른 값이 들어갈 수 있다.
  • OR 연산자는 ture 값을 만나면, 그 값을 출력한다.
  • 둘다 false 값일 경우, 뒤에 있는 값을 출력한다.
  • AND 연산자는 false 값을 만나면, 그 값을 출력한다.
  • 둘다 true 값일 경우, 뒤에 있는 값을 출력한다.

 

코드스테이츠 과정에서 '코플릿'이라는 부분은 내용에 적지 않았습니다.